농산물/원예

종자 저장 및 발아.

일.맥.상.통. 2016. 10. 6. 18:57

http://cafe.daum.net/islee81/Pl6e/189?q=%C1%BE%C0%DA%B8%A6%20%B8%F0%B7%A1%BC%D3%BF%A1%20%B9%AF%BE%EE%20%B0%A5%B9%AB%B8%AE



종자의 발아와 저장

1. 종자의 저장 

1) 건조저장 

종자의 함수량이 5-10%가 되도록 말려서 이듬해 봄에 씨 뿌림할 종자는 포대나 가마니, 양파자루에 넣어 

공기가 잘 통하고 습기가 없는 건조한 창 고에 매달아 두거나 선반에 쌍하 놓는 방법 (소나무, 해송,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

2) 습사저온저장(냉습적법) 

밤, 도토리, 호도, 은행, 침엽수 등과 같이 전분 또는 단백질이 많은 대립종자는 함수율이 35% 이하로 떨어지면 

발아력이 상실 되므로 정선된 종자를 젖은 모래에 섞어 건조하지 않고 얼지 않도록 노천매장을 하거나 저온으로 저장(1-2℃)하는 방법

 

3) 건사저장(보호저장)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마른 모래2에 종자 1의 비율로 섞어 종자를 건조하지 않도록 실내 또는 창고등에 보관하는 방법

4) 밀봉건조 

낙엽송, 포플러류 등의 종자를 수분 5% 내외로 건조시켜 유리병이나 양철통에 황화 칼륨 같은 종자 활력제와 

실리카겔 같은 건조제를 종자와 함께 넣고 밀봉시켜 2-4 도의 낮은 온도로 저장

5) 층적법 

종자를 매장시 종자와 축축한 모래를 층층으로 넣어서 마르지 않게 저장하는 방법

6) 노천매장 

습사저온저장과 같이 건조하면 발아력이 떨어지거나 변온처리를 해야 발아되는 종자의 저장 및 발아 촉진 방법으로

채집하여 정선한 종자를 땅 속에 묻어 두었다가 파종하는 종자 저장법


2. 종자 휴면의 원인 

1) 종자휴면 내적 원인(1차 휴면/자발적 휴면)

①씨껍질의 방해 = 껍질이 너무 단단하면 발아에 방해를 준다 . 

②씨눈이 덜 성숙 

③종자속 발아억제 물질 = 발아를 하지못하게 한다

2)외적휴면 (2차휴면 /타발적휴면) ①수분 ②온도 ③光 (빛)

광발아종자 : 발아하는데 광선이 필요한 상추,우엉, 일일초, 피튜니아, 콜레우스 ,금어초, 로벨리아 등이있다. 

암발아종자 :오이, 호박, 파, 맨드라미, 가지, 델피늄 ,시클라멘 , 색비름 같은 종자는 광선이 있으면 발아가 늦어진다. 

햇빛과 무관한 종자 : 화곡류, 콩과 작물, 옥수수


3. 물리적 휴면 타파 방법 

1)기계적 처리에 의한 방법 껍질이 두꺼운 종자=껍질에 상처를 준다 핵과류=핵층을 파괴한다

2)온도처리 

장미.상추.앨팰퍼-저온처리 

야자수 처럼 껍질이 두꺼워 발아가 곤란 75~80℃의 온탕 속에 담근 후 파종

3)수세 및 침지에 의한 방법 

당근.우엉처럼 씨껍질에 발아 억제물질이 존재하면 종자를 물에 씻는다 

작은종자는 물에 1~ 1.5일 /핵과류처럼 큰 종자는 4~5일 (발아율을 높이고 발아를 균일하게함)


4. 화학적 휴면 타파 방법 

1)화학약품에 의한 방법 

목화종자는 껍질에 털이 많고,오크라 종자는 껍질이 단단 => 진한 황산에 잠깐담가 껍질의 털.또는 일부를 제거 물에 씻은 후 파종

목초 종자는 질산염 0.1~0.2%수용액 발아촉진

5. 채소씨앗의 사용연한

단명종자:(1~2년) 양파, 파, 시금치, 단옥수수 

상명종자:(3~4년) 무,배추,토마토,고추, 당근 

장명종자:(5년이상) 콩, 녹두, 오이, 호박, 가지

채소씨앗의 사용 연한

각종 채소 씨앗은 새것과 묵은 것에 따라서 채소의 생산량과 품질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채소 씨앗을 파종할때에는 종자가 새 것인지 묵은것 인지를 주의해야 한다.

채소 종자마다 사용 연한이 있다.


하우스에서의 종자 채취-하우스에서 종자를 채취하여 사용하면 좋지 않다.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채소는 생장이 빠르고 일찍 성숙하며 생산량이 높고 경제효율이 좋아 여러가지 장점 있다.

그러나 하우스의 채소는 생장기의 온도와 외계 자연온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분정도가 낮으며 종자 성숙도가 낮다. 

종자나 토양에 의해 전파되는 병원균이 다시 발생하여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씨앗을 심기 전에 잠깨우는 요령

냉장고(4℃)에 3개월간 보관한다. 이렇게 하려면 씨앗을 심기 3개월전에 구해놓는 것이 좋다.

물에 불리는 침종과정은 약 10시간 정도가 좋다.

다음에 34-35℃ 정도 되는 곳에 이틀 쯤 두어서 뿌리가 먼저 나오도록 발아를 시킨다.

위에 싹이 먼저 나오는 것 보다 뿌리가 먼저 돋으면 훨씬 튼튼하게 자란다.


6. 호흡작용 

1) 수분 - 기수분비 =>효소 활성화 =>배의 생장 개시 충분한 수분흡수 껍질이 연하게 됨 

발아 돕고 호흡작용 활발 흡수량 벼 23 % 밀 30% 콩 100%

2) 산소 -호흡작용 충분한 산소가 있어야 발아 ↑ 벼는 무기 호흡에 의하여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 얻음

3) 온도 - 발아 적온은 생육 적온보다 10℃ 낮음 발아에 필요한 온도 최저 0~10℃ . 최적 20~30℃ . 최고 35~50℃

 

7. 종자의 발아 순서 

물의 흡수 - > 효소의 활성 -> 씨눈 생장 -> 껍질 열림 -> 어린싹 .어린부리

-떡잎이 위로나오는걸 지상자엽형. 반대로 지하에 남아 있는걸 지하자엽형

8. 발아력조사 

발아율 (%) = 발아한 종자수 / 사용된종자수 x100

발아세 (%) = 예정일수내에 발아한 종자수 / 사용된 종자수 x100

평균 발아 일수 (%) (파종일부터 일수x그날 발아 종자수) / 발아한 총수


9.미세 종자(잔종자) 파종

1) 파종상자 바닥에 망사를 깔고 굵은 모래를 상자높이의 5분의 1 정도 채움 

2) 파종 용토를 상자높이의 5분의 4정도 채우고 판판하게 고른다 

3) 씨앗을 같은 굵기의 모래와 1:20의 비율로 혼합 파종상자에 고르게 뿌리고 복토

4) 관수는 관수용 물통에 천천이 들여앉혀 아래로부터 물이 스며오르도록 저면관수 

5) 파종 후 상자위에 판유리나 플라스틱 필름을 덮어준다 . 

6) 발아 후에는 과습하지 않도록 환기


10. 전열온상의 설치-정열성은 불균일하게 배치 ※복토방법 - 종자위에 2배정도의 흙을 뿌려줌

종자의 준비-이식이나 정식에 필요한 충분한 묘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요 묘수의 2~3배의 종자를 준비


11. 분갈이 

1) 화분용 배양토 만들기 화분용 배양토의 병균및 해충이 없고 비료분이 풍부해야 함

화분용 배양토는 식물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배수성.보수력.통기성이 좋아야 함

2)화분용 배양토의 재료 

①거름흙=논흙&밭흙20~30cm퇴비 10cm 번갈아 2~3개월 썩혀서 만듬 

②부엽 =참나무 낙엽 젖을정도로 물을 뿌 리고 ~ 부스러질정도로 썩으면 부엽으로 이용

③모래 =통기성 및 배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 2~3mm통기성이 필요할 수록 더 굵은거 사용 

④수태 =습지에서 자란이끼류 

⑤바크 =전나무.떡갈나무 껍질을 1~2cm 조각내어 쌍고 발효 시킨다 

⑥훈탄 =왕겨를 숯처럼 만든 것 


13. 양액재배 -기존의 토양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에 비하여 

영양소가 들어있는 수정액속에 뿌리를 담그거나 천연또는 인조 배지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것

1)양액재배의 종류 

①수 경 :식물을 고형배지 없이 배드안에 배 양액만들 공급 재배 (담액수경:뿌리전체). (박막수경:절반만 잠기고 절반 밖에 )

(분무경: 뿌리 노출로 분무기로 뿌려줌 )(모관수경)

②배지경 :배드에 식물을 지지할수 있을 정도로 배지를 넣고 양액을 공급 재배 보수성이 높은 배지경을 사용하는게 효과적이다

2) 양액재배 설비 

①베드 -> 식물이 자라나는 곳 ②배양액 탱크 ③급배액 장치 ④원수 탱크 (순수한물)

 

3) 양액의 조제 -배양액의 조건 

필수 무기양분 함유 (N.P.K) 

뿌리에서 흡수하기 쉽게 물에 용해된 이온 상태 일 것 

각각의 이온이 적당한농도로 용해되어 총이온농도가 적절 할 것 

작물에 유해한이온을 함유하지 않을 것 

용액 PH 범위가 5.5~6.5에 있을 것 (약산성~중성) 

재배기간이 계속되어도 농도.무기원소 간의 비율및 PH 변화가 적을 것 가격이 저렴할 것.


-------------------------------------------------------------------------------------------


http://iforest.nfcf.or.kr/forest/user.tdf?a=user.board.BoardApp&c=2002&d=&board_id=GPB_MATERIALROOM&mc=CYB_CST_MOR&ctx=&skin=&seq=176&search_cons_with_keyword=&search_cons_without_keyword=&clobs=&sel_basic=&searchVal=&cp=1&pg=1&basic=&isSearch=


종자의 저장 방법

 

건조저장

종자의 함수량이 5-10%가 되도록 말려서 저장하는 방법으로 이듬해 봄에 씨뿌림할 종자는 포대나 가마니, 양파자루에 넣어 공기가 잘 통하고 습기가 없는 건조한 창고에 매달아 두거나 선반에 쌓아 놓은 방법(소나무, 해송, 오리나무, 자작나무등)


습사저온저장 (냉습적법)

밤, 도토리, 호도, 은행, 침엽수 등과 같이 전분 또는 단백질이 많은 대립종자는 함수율이 35%이하로 떨어지면 발아력이 상실되므로 정선된 종자를 젖은 모래에 섞어 건조하지 않고 얼지 않도록 노천매장을 하거나 저온으로 저장(1-2C) 하는 방법


건사저장 (보호저장)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마른 모래2, 종자1의 비율로 섞어 종자를 건조하지 않도록 실내 또는 창고등에 보관하는 방법


밀봉건조

낙엽송, 포플러류 등의 종자를 수분 5% 내외로 건조시켜 유리병이나 양철통에 황화칼륨 같은 종자 활력제와 실리카겔 같은 건조제를 종자와 함께 넣고 밀봉시켜 2∼4℃의 낮은 온도로 저장


층적법

종자를 매장시 종자와 축축한 모래를 층층으로 넣어서 마르지 않게 저장하는 방법


노천매장

습사저온자장과 같이 건조하면 발아력이 떨어지거나 변온처리를 해야 발아되는 종자의 저장 및 발아 촉진 방법으로 채집하여 정선한 종자를 땅 속에 묻어 두었다가 파종하는 종자 저장법


- ▷ 수종별 노천매장 시기


종자를 채집, 정선한 직후 노천 매장하는 수종 - 단풍나무류, 벚나무류, 은행나무, 잣나무, 백송, 들메나무, 가래나무, 느티나무, 백합나무, 목련류, 벽오동, 팽나무, 물푸레나무, 신나무, 피나무, 층층나무 등


씨뿌리기 한 달전에 매장하는 것이 좋은 수종 -소나무, 해송, 낙엽송, 리기다 소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측백, 삼나무, 편백 등



- ▷ 노천매장 방법

【준비물】 종자, 모래, 노천 매장 상자, 철망, 짚.


【방법 및 순서】


종자량의 2배에 해당하는 모래와 혼합한다.

배수가 잘 되는 곳에 60∼70㎝ 깊이 로 구덩이를 판다.

두께 2∼3㎝의 판자로 깊이 30∼40㎝ 되는 상자를 만들고, 아랫 부분에 철망을 붙여 고정시킨다.

상자를 지면보다 약 10㎝ 정도 깊게 넣고, 상자 바닥에 모래를 깐다.

모래와 혼합한 종자를 넣고 모래를 덮은 후 철망을 덮는다.

흙을 덮고 그 위에 짚이나 낙엽 등을 덮는다.

겨울 동안 비나 눈이 오지 않아 건조할 때에는 인력으로 관수한다.


----------------------------------------------------------------------------------


http://cafe.daum.net/pinedoctor/Bpm0/47?q=%C1%BE%C0%DA%B8%A6%20%B8%F0%B7%A1%BC%D3%BF%A1%20%B9%AF%BE%EE%20%B0%A5%B9%AB%B8%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