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8738&cid=47312&categoryId=47312


물을 담아 두고 논농사를 짓기 어려운 산간 지역에서는 주로 밭농사를 많이 한다. 밭에서는 밀, 보리, 감자, 콩, 옥수수, 고구마와 같은 식용 작물과 담배, 인삼과 같은 특용 작물, 무, 배추 등의 채소 같은 원예 작물을 주로 재배한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많은 부분이 산지이기 때문에 농민들은 주로 밭농사를 지으며 생활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667&cid=40942&categoryId=31870


논농사에 대응하는 말이다. 밭농사는 입지조건에 따라 경영형태를 달리하지만,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고 작물의 종류도 다양하다. 그것은 기술적으로나 경영적으로 작물재배 후 손해의 위험을 분산하고 지력(地力)을 유지하며 농산물을 상품화하는 과정에서 수익의 안정확보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밭농사에서는 돌려짓기[輪作]가 본질적인 방식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주곡(主穀) ·혼용(混用) ·주축경영(主畜經營)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이 통례이다.



'농산물 > 밭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초기 부착형 로터리기, 제초기.  (0) 2016.06.01
무동력 관리기.  (0) 2016.06.01
고구마.  (0) 2016.05.31
옥수수  (0) 2016.05.27
수박  (0) 2016.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