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속오토차량 >
- http://blog.daum.net/hwa2611/12420703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oowon&logNo=80166691155'
젤 위에 위치한 P(Parking)
말 그대로 주차를 위한 위치입니다. 엔진 동력이 구동바퀴에 전달 되지 않는 위치이며 차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는 위치입니다. 이 위치에서 시동가능합니다. 하지만 차량 마다 틀리지만 요즘은 거의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여야지 시동이 걸립니다.
두번째 위치한 R(Reverse)
R위치는 후진을 위한 위치이며 정지시 들어갑니다.
시동 불가능 합니다
세번째 위치한 N(Natural)
알고 계신것 처럼 중립입니다 P와 마찬가지로 엔진 동력이 구동바퀴에 전달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P위치처럼 차량을 정지 시켜 놓지는 않습니다. 이 위치에서도 시동 가능합니다.
네번째 위치한 D(Driving)
주행을 위한 위치입니다. 그때 그때 상황에 맞게 자동 변속 됩니다
이 위치도 시동 불가능 합니다
그밖에 3
있는 차량도 있고 없는 차량도 있습니다 보통 O/D가 없는 차량들에게 있습니다
주행중 추월이나 빠른 가속을위해 쓰기도 하지만 약한 내리막길 같은곳에서 엔진브레이크로도 사용됩니다
보통 DOHC차량에 있습니다 (전부는 아님니다)
2(S)
이거 역시 있는 차량도 있고 없는 차량도 있습니다 3과 마찬가지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데 사용합니다
차종에따라 2 또는 S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보통 2나 S가 적혀있는 차종은 보통 SOHC차량에 적혀있습니다.(전부는 아님니다)
1(L)
이 위치에 놓을경우 1단만 사용하며 변속되지 않습니다. 내리막길이 심할때 사용합니다.
오토바이를 타신다니 이해가 한결 빠르시겠네요.
그밖에 변속기 스위치
O/D(Over Drive)또는 POWER
변속기 또는 변속기 주변에 있습니다 (없는 차량도 있습니다)
O/D 버튼을 누를경우 O/D OFF라는 표시등이 들어오며 기어를 한단아래 낮추어 가속합니다.
이경우 RPM이 상승하며 좀더 파워있는 운행을 할수 있지만 연비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HOLD또는WINTER
눈길 얼음길등 미끄러운 곳에서 출발할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1단 출발로 일어나는 스핀을 막아주기 위한 기능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차량마다 단수는 틀림니다. TCS장착된 일부차량은 이 기능이 없습다.
그럼 정지시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정지시 기어가 어느 위치에 있던 키를 OFF위치로 놓으면 시동이 꺼집니다
하지만 N에 있을경우 내리막이나 오르막일 경우 차량이 움직이게 됩니다
그걸 방지하는 위치가 P입니다
그리고 신호대기등으로 정지시 굳이 N위치에 놓지 않아도 차량 시동유지되며 브레이크만 밟고 계시면 차량은
욺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P에서R N에서R은 브레이크가 밟힌 상태에서만 이동가능합니다 물론 주행중에는 안들어갑니다
--------------------------------------------------------------------------------
< 수동 변속 차량 >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nnaha&logNo=220821070956
먼저 클러치, 미션에 대해 알아 볼까요 ?
자동차 엔진은 다 아실거고
미션(transmission)은 "트랜스미션"을 줄인 말로
엔진에서 발생한 힘(구동력)을 자동차의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클러치(clutch)는 엔진과 트랜스 미션의 동력 전달을
이어 주기도 하고 끊어 주기도 하는 기계장치입니다.
쉽게 정리하면
0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 엔진 동력이 차단 되고
0 클러치 폐달을 놓으면(발을 떼면) => 엔진 동력이 연결 됩니다.
수동 미션 차량은 운전을 하게되면
아마도 수만번을 엔진 동력이 연결됐다가 떨어졌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그러다 [클러치 디스크판] 닳게 되어 장려히 전사하게 되면
1단 기어변속을 해도 차가 나가질 않게 되죠
1. 시동 걸기
1) 클러치(clutch) 페달(왼발)을 밟은 상태(바닥 끝까지)에서
(오른발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2) 기어(stick)를 중립에 위치 시킨 후
3) (키롤 돌려) 시동을 건다.
2. 출발(Upshit)
1) 기어를 1단으로 변속해서 넣은 후
2) 오른발을 브레이크 페달에서 악셀 페달로 옮긴 후
3) 왼발로 클러치 페달을 아주 천천히 뗌과 동시에
오른발로 악셀 페달(gas pedal)을 밟으면서 차를 천천히 출발 시킨다.
3. 주행
1) 기어변속시 평지에서는 보통 1,500 ~ 3,000 rpm 내에서 변속한다.
하지만 언덕을 오를때 처럼 큰 힘이 필요할 때에는
평소보다 조금 더 높은 rpm 영역에서 기어를 변속한다.
4. 정지
1) 먼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충분히 속도가 떨어질때 까지)
2) 다시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3) 완전 정지
5. 시동 끄기(주차)
1) 기어 중립
2) 사이드 브레이크 올리고
3) 클러치 페달을 끝까지 밟은 상태에서
4) 시동 끄기
6. 급 출발
1) 기어 1단에서 최대 RPM으로 급 출발 한 후
2) 기어 1단 => 3단으로 바로 변속후(2단 생략)
최대 RPM으로 빠르게 변속(4단-5단으로)
7. 급 정지(긴급 상황)
1) 핸들이 흔들리지 않게 양손으로 꽉 잡으면서
2) 브레이크 페달을 끝까지 밟는다.(더블 브레이킹 사용)
- 힘이 모자란다 싶으면 두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밟는다 -
3) (시동이 꺼지면서) 차가 정지한다.(급할때는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아도 된다.)
- 브레이크 페달 먼저 밟고 => 다음에 클러치 페달을 나중에 밟는 운전습관이
매우 중요 함
[수동 변속기 차량 운전시 주의사항]
- 클러치 페달을 " 빠르게 (바닥) 끝까지 밟고, (변속후) 천천히 발을 떼는 것" 이
아주 중요하며,
(예 :클러치 페달을 밟는 동작 0.5초 일때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는 동작은 2~3초)
- 처음 출발할때 처럼 [클러치 + 악셀 페달]을 동시에 밟고 있는
상태(반클러치-Double Clutch 상태)로 운전하는 것은 가급적 출발할때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반클러치의 잦은 사용 => 수동 미션 클러치 디스크판 조기 마모 초래)
- http://blog.daum.net/kusokurae80/15657011
'- 생활 팁 > 기타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의 특징비교 (0) | 2017.04.06 |
---|---|
폴리에스터 세탁방법 (0) | 2017.04.06 |
리튬이온배터리 (0) | 2017.03.31 |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0) | 2017.02.08 |
LG-KH3100 슬라이드폰 (0) | 201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