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knskim&logNo=220811813860


http://blog.daum.net/utizennet/12266422


http://cafe.daum.net/islee81/Pl6e/179?q=%B3%EB%C3%B5%B8%C5%C0%E5%B9%FD


종자와 모래를 1:3으로 혼합 양파망에 넣어 두더쥐나 들쥐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철망으로 보호조치를 한 후 매장.

 

1. 겨울철 약초 종자 관리법

전라북도농업기술원(원장 조영철)에 따르면 약초는 종류에 따라 제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자들의 겨울철 관리 방법도 달라진다고 한다.

 

겨울철 종자 관리 방법은

1. 바짝 말려야 하는 것

2. 습기가 있어야 하는 것

3. 그늘에 말려야 하는 것

4. 햇볕에 말려야 하는 것

5. 저온에 저장해야 하는 것

6. 상온에 저장해야 하는 것

7. 1년 만에 발아되는 것

8. 2년을 기다려야 발아되는 것 등이 있다.


2. 노천매장법

겨울철 종자관리의 기본적인 방법으로 가을에 땅 속에 묻어 겨우내 저온을 유지하여 발아율을 높이고 발아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노천매장법’이 있다.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방법은 조금씩 다르다.


노천매장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종자를 정선 선별한다.

2. 종자와 모래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양파 망에 담는다.

3. 배수가 잘되는 곳에 깊이가 60~70cm 정도로 구덩이를 판다.

4. 종자에 물이 차지 않도록 대를 깔고 방충망을 한 겹 친후 바닥에 모래를 채워 넣는다.

5. 사방을 사각의 판자 틀로 막고 아래 위에는 철망을 씌우거나, 전체를 철망으로 둘러싸 들쥐나 두더지로부터 종자가 보호 관리되도록 한다.

6. 철망으로 보호되는 공간에 종자가 담긴 양파 망을 넣는다.

7. 습기가 있는 모래로 빈 공간을 채운다.

8. 흙을 두께 10cm 정도 덮어주고 봉우리처럼 쌓아올려 덮는다.

9. 건조나 직사광선을 막기 위해 짚을 덮어준다.

10. 겨울철에 건조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가끔 물을 주어 종자 및 저장 공간의 건조를 막는 것도 필요하다.


겨우내 눈비를 맞으며 지내는 동안 종자는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면서 발아가 촉진되는 것이다. 

쥐나 새 등의 피해만 없다면 가을에 파종해 두어도 노천매장법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 .


이와 같이 간편한 화학적 약품 처리보다 번거로운 방법을 선택하는 이유는 발아가 늦어지는 이유가 

종자피의 두께 뿐 아니라 식물은 성장지역의 환경과 계절을 적응해가는 생물학적 시각 기작(Biological clock mechanism)에 다소 기인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종피(種皮)의 특수한 구조, 또는 경립화 현상(硬粒化現象) 그 밖의 원인으로 기건저장(氣乾貯藏)이나 건사저장(乾砂貯藏)으로는 

그 해에 발아되지 않는 종자, 또는 발아가 잘 되는 종자라도 파종 후 일제히 발아시키기 위하여 

발아촉진을 겸하는 데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소나무 ·잣나무 ·향나무 ·개나리 ·수수꽃다리 ·측백나무 등의 종자에 적용된다.

그 밖에 종자매장 방법으로는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마른 모래나 톱밥 등으로 종자가 건조하지 않도록 보관하는 건조 저장방법 등이 있다.


[문의]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유동현 063-290-6343

화목류의 종자를 화학적방법으로 종자피를 얇게 하여 발아율을 높이거나 시기를 앞당길 수는 있지만 

자연적인 방법이 건강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가을에 땅 속에 묻어 겨우내 저온을 유지하여 발아율을 높이고 발아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노천매장법" 이다.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양구 생태식물원에 참빗살나무의 종자처리 방법을 소개한다.

 

1. 참빗살나무 종자와 모래를 1:1로 섞는다.


2. 모래와 섞은 종자를 양파망에 잘 싼다.두더쥐등의 피해 염려가 있을시는 철망을 감싼다


3. 땅을 깊이 30cm이상 깊이로 판다.↑

 

4. 땅속에 넣는다. ↑

 

5. 흙을 덮고 위를 봉긋하여 물이 고이지 않게 한다. ↑

 

간편한 화학적 약품 처리보다 번거로운 방법을 하는 이유는 발아가 늦어지는 이유가 종자피의 두께 뿐 아니라

식물은 성장지역 환경과 계절을 적응해가는 생물학적 시각 기작 (Biological clock mechanism)에 다소 기인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을에 단풍이 지고 싹이 피는 것은 단순한 일조량과 온도의 변화가 아닌 것처럼 식물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은 알면 알수록 신비롭다.


http://blog.naver.com/pinedoctor/220163332159


http://withsup.net/150074020382


'농산물 >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 노천매장과 파종  (0) 2017.03.27
소나무 종자의 파종과 관리법  (0) 2017.03.26
삽목(꺽꽂이) 방법  (0) 2017.02.18
제초제 사용법  (0) 2017.02.14
종자 저장 및 발아.  (0) 2016.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