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

http://blog.naver.com/moonlight_2g/220979683128


http://cafe.daum.net/m-cafe/l2Ne/74?q=%B6%A5%B5%CE%B8%A8%20%C3%A4%C3%EB%BD%C3%B1%E2


http://cacafood.tistory.com/265



<땅두릅>


http://cafe.daum.net/samchasa/2Es0/5805?q=%B5%CE%B8%A8%B8%D4%B4%C2%B9%FD


http://blog.naver.com/jy019191/80211048439


땅두릅

學名은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이고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며,

고지대에서 자생하거나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여러해살이풀로 ‘독활((獨活)’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독활은 한약재로 쓰이는 땅두릅 뿌리를 말한다.

다년생으로 비교적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며,

이른봄 땅속 뿌리에서 움이 돋아나 7∼8월부터

연한 녹색꽃이 피고 8∼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잎은 2∼3회 깃골로 갈라진 큰 잎이고 어린잎은 둥근 꼴이며

잎가에는 톱니가 있다.

열매는 검고 그 속에 씨앗이 5∼6개 들어 있으며

구근 형태로 겨울나기를 한다.

단백질, 당질, 섬유질, 철분, 비타민 B1, B2, Cem의

영양성분이 있으며, 사포닌 성분도 있다.

땅두릅의 효능

관절염, 신경통, 중풍, 감기, 두통, 풍치, 고혈압,

피부 가려움증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초장에 콕 찍어먹으면 아삭아삭 알싸한 맛이 일품입니다


http://blog.daum.net/infinity-/1579


땅두릅은 뿌리에 닿은 부분까지 채취한다, 아래로 갈수록 맛이 있다...


http://blog.naver.com/gw5624/6020104070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dunara004&logNo=220691957829


http://cafe.daum.net/soklisan/U3cp/4?q=%B6%A5%B5%CE%B8%A8%20%C3%A4%C3%EB%BD%C3%B1%E2


- 과명: 두릅나무과

- 학명: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 한약명: 독할, 강청, 토당귀


땅두릅은 나무가 아닌 다년생 풀로서 땅두릅 또는 풀두릅이라고도 하며 한약명으로 독할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산채이다.

우리나라 어디에나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산의 음지쪽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다.


어린 순을 뜯어다가 나물로 무쳐 먹거나 조개나 멸치를 끓인 국에 넣는다. 또한 어린 줄기의 껍질을 벗겨 잠깐 데치든지 날것 그대로를 된장이나 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우리의 식성에는 된장 고추장이 가장 적합하다. 여린 잎과 갓 자라 나온 줄기의 껍질은 산뜻한 맛과 씹히는 느낌이 좋다. 


될수록 생식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며 녹즙을 내어 마셔도 좋다. 차를 만들어 입안이 심심할 때마다 우려 마셔도 되고, 뿌리를 잘게 썰어 3배량의 소주에 담가 가끔 휘저어 주며 2개월 이상 냉암소에 묵혔다가 날마다 조금씩 마시면 별스런 향이 나며 약술의 구실을 한다.

 

씨앗으로도 번식 잘 된다. 씨앗 따는시기는 10월15일 ~31일 11월 초순.

첫서리가 내리기 하루전 까지 말랑한 씨앗을 따서 고무장갑을끼고 씨앗을 얼깨어 물에 씻어 깨끗하게 가라앉는 분리하여 그늘에 말려서 양파자루 망태기 같은데 넣어 얼지않게, 또 물이 잘 빠지는곳에 노천매장 하여 봄 4월 초순경 밭에 골부림 파종후 벼짚을 덮고 마르지 않게 조루로 물을 자주 주어 싹이 올라오면 짚을 걷어내고 관리한다. 4월 파종하면 발아가 1~2개월 걸린다. 철새가 씨앗 열매를 잘따 먹으니, 철새가 먹기전에 채취하고... 씻어보면 씨앗 껍질에 기름이 많은것 같다.


http://cafe.daum.net/sansam-114/1ToA/14?q=%B6%A5%B5%CE%B8%A8%20%C3%A4%C3%EB%BD%C3%B1%E2



'임산물 > 버섯 및 산림부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래순 발효액 담그는 법  (0) 2017.04.13
나물, 산야초 채취 시기  (0) 2017.04.12
버섯재배사, 버섯재배.  (0) 2016.09.14
송고 / 송화/ 고송버섯.  (0) 2016.09.14
표고버섯 재배.  (0) 2016.09.02